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J1인턴 세금 신고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J1 인턴은 비거주자로 분류되어 TurboTax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셀프로 세금 신고를 하기 위해선 Sprintax를 이용해야 합니다.
Sprintax - US Income Tax Software for Nonresident Aliens
Sprintax offers affordable and convenient online tax solutions for nonresident employees, international students & scholars, teachers & trainees, J program participants, Au Pairs and many more.
www.sprintax.com

세금 신고를 하기 이전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필요한 서류:
- 여권
- 현재 및 이전 미국 방문 시 입국 및 출국 날짜
- 모든 소득 관련 서류: 마지막 급여 명세서, W2 양식, 1042-S 양식 및/또는 1099 양식
- 비자/이민 상태 정보 (J 비자 보유자는 DS-2019 양식, F 비자 보유자는 I-20 양식 포함)
- 사회 보장 번호(SSN) 또는 개인 납세자 식별 번호(ITIN)
- Sprintax를 통해 주 세금 신고만 준비하는 경우, 이미 준비된 연방 세금 신고서 사본이 필요합니다(현재 및 이전 연도에 대해 신고한 경우).
Sprintax에서 Form 1098-T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1. Sprintax 로그인
[Login > Personal > Returns ] 을 차례대로 클릭한 후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해 로그인합니다.
아이디가 없는 경우 sign up 버튼을 눌러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2. 과세 연도 선택
신고할 과세 연도를 선택합니다. 저는 전년도 세금을 신고하기 위해 2024를 선택했습니다.

3. 거주자 비거주자 판단

- 2024년 마지막 날에 미국 시민권을 보유하고 있었습니까? (출생이나 귀화를 통해)
- 영주권 보유 경험이 있습니까?
- 미국 시민권 또는 합법적인 거주권을 신청한 적이 있습니까?
(시민권, 영주권 보유 경험 없으면 전부 no 선택)
- 2024 세금 연도 동안 미국에 있던 적이 있습니까?
- 미국에 처음 방문한 년도는 언제입니까?
-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습니까?
- 2022년부터 시작하여 미국을 방문한 모든 날짜를 아래에 기입해주세요.

(이전 연도에 세금 신고한 기록이 있다면 전년도 정보를 그대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4. 비자 정보 입력
[ Visa type > J1 internship ] 을 선택한 후 DS-2019 양식 또는 I-20 양식에 따라 나머지 정보들을 입력합니다.

- 비자 유형
- 비자 발급일
- 비자 만료일
- 프로그램 시작일
- 프로그램 종료일
- 미국 첫 입국일
- 영구적으로 미국을 떠난 날짜 또는 떠날 예정 날짜
- 국적
- 미국에 입국하기 전 거주 국가
- 2024년 동안 비자를 변경한 적이 있습니까?
5.개인 정보 입력
본인의 개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 이름
- 미들 네임
- 성
- 직업 유형
- 직업
- 생년월일
- 2024년에 미국에서 소득(임금, 장학금 또는 기타 지급)을 받았습니까?
- 미국 세금 식별 번호(ITIN/SSN)가 있습니까?
- 2024년 동안 디지털 자산을 보상으로 받거나, 판매, 교환, 증여, 또는 기타 방식으로 처분한 적이 있습니까?
6. 주소, 여권 정보, 폰 번호 입력
본인의 주소, 여권 번호, 폰 번호를 입력합니다.

- 미국 주소
- 한국 주소
- 세금 신고서에 표시될 주소와 환급 수표 및 서신에 사용될 주소를 선택하세요 (환급 수표를 받을 주소를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한국으로 귀국했기 때문에 한국주소를 선택했습니다.)
- 이 주소가 청구 주소인가요?

- 여권 번호
- 여권 발급 국가
- 미국 폰 번호
- 한국 폰 번호
7. 결혼 및 부양가족 여부 입력
결혼 및 부양가족 여부를 입력합니다.

- 다른 사람의 미국 세금 신고서에서 부양가족으로 청구될 수 있습니까?
- 2024년 마지막 날에 결혼 상태입니까?

- 부양가족이 있습니까?
(미혼 및 부양가족이 없으면 전부 no선택)
8. 소득 관련 서류 선택
W2, 1099등 본인이 제출할 소득 관련 서류 타입과 수량을 선택합니다.

저는 회사에서 w2 form을 메일로 받았기에 w2 를 선택했습니다.
9. 소득 관련 서류 제출
[Browse files] 를 클릭하여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파일을 업로드 하면 자동으로 양식이 채워집니다.
본인의 서류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엉망으로 채워져 다시 입력했습니다.)
10. 다른 소득 여부 입력
보고되지 않은 다른 소득의 여부를 입력합니다.

- 지금까지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고 보고되지 않은 미국 출처의 다른 소득을 받았습니까?
11. 추가적인 세금 정보 입력
추가 적인 세금을 지불한 적이 있는지 혹은 양식을 제출한 적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체크합니다.

- 2024년에 직접 IRS에 추정세를 지불한 적이 있습니까?
- 2024년에 직접 주 세무서에 납부한 예상 세금을 지불한 적이 있습니까?
- IRS에 세금 신고 연장을 요청하는 양식을 제출한 적이 있습니까?
- 주 세무서에 세금 신고 연장을 요청하는 양식을 제출한 적이 있습니까?
- 미국 연방 세금 신고를 한 적이 있습니까?
- 주 세금 신고를 한 적이 있습니까?
(미국에서의 세금 신고가 처음인 경우 전부 no 체크)
(저같은 경우는 작년에 연방 정부와 주정부에 세금 신고한 적이 있기 때문에 yes 체크 후 연도와 택스리턴 타입을 기입하였습니다.작년 세무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은 따로 포스팅하겠습니다.)
12. 세금 조약 확인
미국과 한국간의 세금 조약(Tax Treaty)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 이 세금 조약에서 허용하는 최대 면세 혜택을 청구하시겠습니까? ( 조약에서 허용하는 최대한의 면세 혜택을 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질문입니다. Yes를 선택하면, 해당 조약이 허용하는 최대 금액까지 면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위 표에 나열된 소득 중 일부가 대한민국에서도 과세 대상입니까?
13. 기타 경비
기부, 건강 보험에 관한 세부 사항을 입력합니다. 필수 사항이 아니므로 일부 또는 전체 항목을 비워둬도 괜찮습니다.

- 수표나 현금으로 지불한 자선 기부
- 기타 방법으로 지불한 자선 기부
(기부한 적이 없다면 비워두시면 됩니다.)
- 2024년에 2023년 주(州) 세금 신고서로 납부한 세금이 있습니까?

- 1095-A 양식을 받으셨습니까?
14. 데이터 전송
따로 입력할 것은 없고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이전에 College details 창이 뜨시는 분들은 DS-2019를 참고하여 작성하시면 됩니다.

15. 미국 내 거주 내역 작성
2024년 동안 거주한 각 주의 세부 정보를 입력합니다.


- 일리노이 주에 임시 목적으로 계십니까?


- 인터넷, 수신자 부담 전화, 우편 주문 카탈로그, 주 외 지역 등 판매자가 사용세를 부과 및 징수하지 않은 상황에서 과세 대상 구매를 하신 적이 있습니까?
16. 최종 금액 확인 및 환급 방법 선택
연방세와 주세가 어떻게 나왔는지 요약되어 표시됩니다.

- VITA 자원봉사자가 세금 신고 준비를 도와주고 있습니까? (셀프로 세금 신고하고 있으므로 no에 체크)

저는 세금을 환급받게 되었네요

연방세의 최종 금액을 확인하고 환급 방법을 다음 세 가지 중 선택합니다.
- 미국 은행 계좌로 이체
- 우편으로 수표 수령
- 다음 해 세금에 대한 크레딧
(저는 우편으로 수표 수령을 선택했습니다. 한국 집으로 수표가 오게됩니다.)

주정부 세금 신고는 아직 처리되지 않아 기다려야 합니다.
주세의 환급 방법을 다음 세 가지 중 선택합니다.
- 미국 은행 계좌로 이체
- 우편으로 수표 수령
- 다음 해 세금에 대한 크레딧
주세의 납부 방법을 다음 두 가지 중 선택합니다.
- 체크 / 머니 오더
- 신용카드 / 직불카드
17. 결제
Sprintax 이용 가격을 결제 하면 됩니다 .

Post-Filing Support 서비스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 서비스를 원하지 않기에 넘어가겠습니다.

이 서비스도 원하지 않으니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저는 할인 코드를 입력하여 $54.95 할인되어 총 $49.95를 결제하게 되었습니다.

checkout 클릭후 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결제가 완료됩니다.
18. 파일 다운로드
마지막으로 파일 다운로드 후 메일로 연방정부, 주정부로 각각 보내면 됩니다.

작년에는 federal은 e-filing이 가능했는데 올해는 창이 뜨지 않네요.. 찾아보니 뜨지 않는 경우도 많고, 이 경우에는 연방정부에도 직접 우편으로 파일을 보내야한다고 합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을 열면 마감 날짜와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금 신고서를 처리하는 데 4~6주가 소요되며 연방 세금 환급 상태는 IRS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후 업로드 하겠습니다.)
+) 저처럼 e-filing안 될 때 (전자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우편으로 직접 보내야 하는 서류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세금 신고시 연방 정부에 보내야하는 서류>
1. W-2 (w-2파일에 Federal Filing Copy라고 적힌 부분을 잘라 동봉합니다.)
2. 1040-NR (두번째 페이지 Sign Here 칸에 서명해야 합니다.)
3. 8843 (1040-NR 양식과 같이 첨부하는 경우 서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독으로 제출하는 경우엔 서명해야 합니다.)
4. W8BEN (Sprintax를 통해 세금 신고를 한 후 파일에 있는 경우에만 첨부합니다.)
<세금 신고시 주 정부에 보내야하는 서류>
1. 2024 Form IL-1040
2. 2024 Schedule NR
3. 2024 Schedule IL-WIT
4. W-2
5. Copy of your Federal Tax return (연방 세금 신고서 사본)
1~3번은 Sprintax에서 준비가 완료되면 메일로 링크를 보내줍니다.
'미국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세금 신고 기록, 작년 세금 내역 조회 및 확인하는 방법 (0) | 2025.02.01 |
---|---|
미국 국세청(IRS)홈페이지 회원가입하는 방법 (ID.me) (1) | 2025.02.01 |